서비스가 점차 커지면서 에러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했습니다. 이를 위해 모니터링 툴을 도입한 과정을 풀어봅니다.
스프린트 개선 실패와 성공담
회사에서 개발 스프린트를 진행하던 중 문제와 불편한 점이 생겼습니다. 이를 개선하려고 무리하게 속도를 높였지만, 오히려 스프린트가 지연되었습니다. 이 경험을 바탕으로 스프린트를 개선하기 위한 과정을 정리했습니다.
현업 0년차 리드란
첫 직장에 감히 리드라는 이름을 걸고 들어가게 되었습니다. 왜 현업 0년차 리드가 되었을까요? 리드의 자리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?
Select 컴포넌트 css 커스텀을 위한 여정
native select는 자체적으로 강력한 태그라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그만큼 컴포넌트를 만들며 가장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이 여정을 풀어볼까합니다.
tanstack query + ts에서 undefined 매개변수 엄격하게 처리하기
tanstack query와 typeScript를 사용하면서 종종 undefined 일 수 있는 매개변수를 넘기기도 합니다. 어떤 방법으로 undefined를 처리해 줄 수 있을지 고민해보았습니다.
tanstack query를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?
회사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tanstack query의 구조를 개선하면서 들었던 고민과 해결 방법을 적어보고자 합니다.
styled-components stylelint적용과 자동수정(feat. yarn berry에서 pnpm으로)
styled-components와 같은 css in js를 쓸 때 stylelint와 자동수정을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? 최신 버전 기준으로 stylelint를 적용하며 겪었던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.
마우스 드래그 스크롤 구현하기
스크롤 영역을 스크롤 바로 조절 하기도 하지만, 마우스를 좌클릭 한 상태로 드래그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액트에서 마우스 드래그 스크롤을 구현합니다.
React.memo와 지도 커스텀 마커
지도에 여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저희는 마커를 많이 사용합니다. 기본적으로 지도가 변할 때 마다 지도에 보이는 영역의 마커를 전부 새로 렌더링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. 이 과정을 좀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.
리액트 사이드 이펙트 탐구하기
리액트에서 말하는 사이드 이펙트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? 그리고 사이드 이펙트를 잘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 사이드 이펙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어보려고 합니다.